블로그 이미지
현이제이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환경 전문가나 기후변화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요즈음 환경문제, 기후변화 문제가 심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초대형 산불, 극지방의 빙하 감소, 기록적인 폭염, 한파, 태풍 등의 소식이 예전보다 더 자주 들리고, 그 심각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이번 포스팅에서 살펴볼 기사에서는, 이렇게 기후변화 문제가 심각한데도 왜 마땅한 대책이 나오고 있지 않은지에 대해 이회성 IPCC* 의장과의 인터뷰를 통해 이야기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 IPCC: 기후 변화와 관련된 전 지구적 위험을 평가하고 국제적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세계기상기구와 유엔환경계획이 공동으로 설립한 유엔 산하 국제 협의체 (네이버지식백과)

 

"IPCC는 지난 30년 동안 기후변화가 무엇이고, 심각성이 어느 정도이며, 원인이 무엇인지 과학적으로 입증했습니다. 그것이 계기가 돼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약이 만들어졌습니다. 파리협약의 목적은 전 세계 국가가 노력해서 지구 온난화를 방지하자는 겁니다. 각국이 의무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를 정하고 이행을 약속했습니다. 기후변화 문제가 심각하냐 아니냐, 기후변화가 인간의 영향이냐 아니냐를 따지는 차원은 이미 지나갔습니다. 어떻게 하면 2도, 혹은 1.5도 이내로 기후 변동 폭을 안정화할 것이냐가 중요한 목적입니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IPCC가 과학적 차원에서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느냐가 중요하고, 그 때문에 해외 언론이 관심을 두는 것 같습니다." - 이회성 IPCC 의장

 

이회성 의장이 밝힌 기후변화 문제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온실가스 감축 행동에 따른 혜택이 무엇인지 더 명확하게 규명해야 한다는 것"이다. 사람들이 이러한 혜택을 알고, "기후행동이 경제와 사회를 발전시킨다는 인식"을 해야만 사람들이 움직인다는 것이다.

 

또한, 지난 12월 IPCC 당사국 총회(COP25)에서 많은 논의가 있었으나 별 소득이 없었다고 평가되는데, 이러한 실패 이유로 이회성 의장은 두 가지를 들고 있다. 첫 번째는 "개도국에서의 온실가스 감축분(carbon credit)"을 얼마나 인정할 것인지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이고, 두 번째는 선진국들이 2020년까지 개도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약속한 규모의 재정 지원을 이행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렇게 시장 메커니즘을 통한 국가 간 협력에 대한 조문인 파리협약 제6조에 대한 합의가 어려워졌는데, 즉, 환경문제에 대한 대책 실행이 경제 문제로 인한 난관에 부딪힌 것이다.

 

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78%는 세계 주요 20개국(G20)이 차지한다. 그런데 개도국의 경제 성장을 위해 필요한 에너지 중 상대적으로 값싼 화석 에너지 사용을 제한하고, 또 기후변화의 큰 피해가 개도국에서 더 나타난다는 점들은 개도국으로서는 억울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렇기에 개도국에서 불만이 나오는 것이고, 선진국과 개도국 사이의 의견 차가 있을 수밖에 없다.

 

UNEP(유엔환경계획)은 현재 각국의 약속과 실제로 기후변동 폭을 2도 이내로 줄이기 위해 필요한 것의 차이를 나타내는 이미션 갭(emission gap)에 대한 리포트를 매해 내고 있다. 이에 따르면 현재의 심각한 상황에서는, 앞으로 2050년까지 탄소중립(net-zero·탄소 배출량만큼 흡수해 실질적인 배출량이 0이 되는 상황)을 만들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현재의 화석에너지 주도 시스템에서 벗어나야 하는데, 그럴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고 한다.

 

 

이렇게 환경문제, 기후변화 문제가 심각한데도 이를 해결하기 어려운 이유를 인터뷰 기사를 통해 여러 가지로 살펴보았다. 환경문제에 대한 이슈를 팔로우업하고자 시작한 첫 포스팅에서 환경문제의 정곡을 찌른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내용을 다룬 것 같고, 여러 가지 깨달음과 새로운 지식 혹은 실마리를 얻은 것 같아 뿌듯하다. 다시 한번 깨닫게 되는 것은, 모든 문제는 결국 돈의 문제와 얽혀있다는 점이고, 다양한 입장 차이 속에서 합의를 내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또, 기사에서 미국의 파리협약 탈퇴를 언급했는데, 비록 미국이 연방 정부에서는 그러한 액션을 취했지만, 주 정부에서는 이산화탄소 감축을 위한 투자와 행동에 매우 적극적이라는 사실을 들면서 국가 차원과 지역 차원의 판단과 이익관계 등이 다를 수 있다는 것도 새로이 깨닫게 된 사실이다. 그렇기에 국가 차원과 지역 차원에서 환경문제에 대해 접근하는 방식이 어떻게 다른지, 이에 대해 이루어져야 할 세심하고 면밀한 연구와 정책 결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더 궁금해졌다. 마지막으로, 기업들이 지속가능성을 위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고 있을 것이라고 장담하신 것, 환경문제에 대한 심각성이 보편적으로 인식되고 있고, 탄소중립으로 가야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었다는 것은 그나마 다행스러운 일인 것 같다. 이러한 맥락에서 금융업에서도 '기후금융'이 키워드가 되고 있다는데, 다음에는 기회가 된다면 '기후금융'에 대해 탐구해보는 것도 유익할 것 같다.

 

 

참고기사: https://shindonga.donga.com/3/all/13/1957949/1

 

“탄소 배출량 줄어들 기미 안 보인다”

지구가 아프다. 호주 대륙의 산불로 서울 100배 면적이 불탔다. “우리 집(지구)이 불타고 있다”고 한 스웨덴 환경운동가 그레타 툰베리의 말이 과장이 아니었다. 이뿐 아니다. …

shindonga.donga.com

 

참고로, 탄소 중립에 대한 기사는 이미 6년 전에도 나온 적이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 기사를 참고해볼 수 있을 것 같다.

https://www.yna.co.kr/view/AKR20141208076900004?input=1195m

 

"2055∼2070년에 탄소 배출·정화량 같아야" | 연합뉴스

"2055∼2070년에 탄소 배출·정화량 같아야", 국기헌기자, 사회뉴스 (송고시간 2014-12-08 12:00)

www.yna.co.kr

 

posted by 현이제이
prev 1 next